728x90

Node.js 3

Node.js 2주차 공부 (2주차)

1. 파일 시스템 접근하기 1) fs 모듈: 파일 시스템에 접근하는 모듈 - 파일 생성 및 삭제 가능, 읽기와 쓰기 가능 - 폴더 생성 및 삭제 가능 //readme.txt fs 모듈 사용 방법 예제입니다. //readFile.js const fs=require('fs'); fs.readFile('./readme.txt',(err,data)=>{ if (err){ throw err; } console.log(data); console.log(data.toString()); }); /*출력 fs 모듈 사용 방법 예제입니다. */ -console.log(data): readFile의 결과물은 버퍼(Buffer) 형식으로 제공 -console.log(data.toString()): toString을 사용해 문..

Node.js 2022.04.18

Node.js 2주차 공부

1. REPL REPL = Read(읽고), Eval(해석하고),Print(반환하고),Loop(종료할 때까지 반복) 2. 모듈 모듈: 특정한 기능을 하는 함수나 변수들의 집합, 관련된 코드들을 하나의 코드 단위로 캡슐화 하는 것 모듈로 만들어두면 여러 프로그램에 해당 모듈을 재사용할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에서 코드를 재사용하기 위해 함수로 만드는 것과 비슷하다. 보통 파일 하나가 모듈 하나가 된다. 파일별로 코드를 모듈화할 수 있어 관리하기 편하다. -module.exports //var.js const odd="홀수입니다."; const even="짝수입니다."; //변수들을 담은 객체를 대입, 이 파일은 모듈로서 가능-->변수들을 모아둔 모듈이 되는 것 //다른 파일에서 이 파일을 불러오면 modul..

Node.js 2022.04.13

Node.js 시작하기 (교재: Node.js 교과서)

1장 서버에 관하여 (1)서버: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에 정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 (2)클라이언트: 요청을 보내는 주체로 브라우저, 데스크톱 프로그램, 모바일 앱, 다른 서버에 요청을 보내는 서버 등이 있다. 2. 이벤트 루프: 이벤트 발생 시 호출할 콜백 함수들을 관리, 호촐된 콜백 함수의 실행 순서를 결정하는 역할 담당 백그라운드: setTimeout 같은 타이머나 리스너들이 대기하는 곳, 여러 작업이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태스크 큐: 이벤트 발생 후, 백그라운드에서는 태스크 큐로 타이머나 이벤트 리스너의 콜백 함수를 보낸다. 정해진 순서대로 콜백들이 줄을 서 있으므로 콜백 큐라고도 한다. 논 블로킹: 이전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하지 않고 다음 작업을 수행 블로킹: 이..

Node.js 2022.04.1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