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0

[백준]- 2225번

✅ 백준 2225번 문제문제0부터 N까지의 정수 K개를 더해서 그 합이 N이 되는 경우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덧셈의 순서가 바뀐 경우는 다른 경우로 센다(1+2와 2+1은 서로 다른 경우). 또한 한 개의 수를 여러 번 쓸 수도 있다.입력첫째 줄에 두 정수 N(1 ≤ N ≤ 200), K(1 ≤ K ≤ 200)가 주어진다.출력첫째 줄에 답을 1,000,000,000으로 나눈 나머지를 출력한다.해결 방법잘못된 풀이아무 생각 없이 문제를 보고 중복 순열로 가져와서 출력하면 안될까? 생각을 했었다.그 결과 당연히 시간초과가 발생했고, 정신 차린 후 DP를 이용하였다.**DP?DP란, 동적 계획법 (Dynamic programming)으로 복잡한 문제를 간단한 여러 개의 문제로 나누어 푸는 방법을..

알고리즘 2025.05.17

[CLOUD] 3-Tier Architecture Server 배포 - EC2

2. Application Tier - (서버)역할 : API 처리, 인증, 비즈니스 로직 수행구성 요소 :Springboot 애플리케이션실행 환경 : EC2, ECS, EKS 등배포 방식 예시 : 1. EC2 인스턴스에 Springboot Jar 실행 ✅ 2. Docker 컨테이너 기반 배포 (ECS or EKS) 3. Load Balancer 앞단 구성 (ALB 사용 가능) 방법 1 1. myblog-server EC2 인스턴스 생성 (기본적인 인스턴스 생성 과정과 동일) 2. ssh 접속이때, 다음과 같은 에러가 뜬다면?Permission denied (publickey). 해결 방법은 다음과 같이 권한을 부여해주면 된다. Key 부분은 실제 ec2 인스턴스 생성 때 사용한 key ..

카테고리 없음 2025.05.17

[CLOUD] S3 CloudFront - AccessDenied

CDN 구축을 하던 도중 403 에러가 발생했다..😭 에러 내용CDN 구축 후 403 Forbidden 에러가 발생했다🚰·̫🚰 해결 과정1. S3 권한 설정이 안되어서 그런걸까 싶었지만 이미 설정 완료 했다. 2. 성공 : CDN 원본 속성 수정 ✅- Origin domain을 만들어 둔 S3로 진행- 원본 액세스 제어 설정 후 Create new OAC 클릭- S3 정책 복사 후 버킷 정책에 추가 그 결과 CloudFront 도메인 주소로 접속하면 블로그 접속 성공~~🍀

클라우드 2025.05.10

[CLOUD] CloudFront (CDN)

1. CDN이란 ?CDN은 Content Delivery Network 의 약자로, 전 세계에 분산된 서버 네트워크를 이용해 사용자에게 콘텐츠 (정적 파일, 이미지, 영상 등)를 더 빠르게 전달하는 시스템이다. 쉽게 얘기하자면, 사용자에게 가장 가까운 위치의 서버에서 콘텐츠를 제공해서 속도는 빠르게, 부하와 비용은 줄이게 해주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서울에 있는데, 서버는 미국에 있으면 로딩 속도가 느릴 수 있다. CDN은 서울 근처(예: 서울, 도쿄, 베이징 등)에 콘텐츠 복사본을 미리 저장해 두고, 사용자가 접속하면 가장 가까운 서버에서 바로 응답해 주는 구조이다. 2. CDN 구성 요소 Origin Server (원본 서버)→ 실제 콘텐츠가 있는 곳 (예: S3, EC2, Web 서버..

클라우드 2025.05.04

[CLOUD] 3-Tier Architecture 배포하기 (1)

이번 포스팅은 실제로 내가 만든 블로그를 3-Tier Architecture 로 배포하려고 한다. 프론트엔드 배포 위주로 담아보겠다. 1. Presentation Tier - (프론트엔드) ✅역할 :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부분 (웹페이지 UI)구성 요소 :React로 빌드한 정적 파일 CDN 또는 정적 호스팅 서비스배포 방식 :AWS S3 + CloudFrontNginx 서버에서 정적 파일 서빙도메인 연결 및 HTTPS 인증서 적용 (추후 적용 예정) 2. Application Tier - (서버)역할 : API 처리, 인증, 비즈니스 로직 수행구성 요소 :Springboot 애플리케이션실행 환경 : EC2, ECS, EKS 등 배포 방식 예시 : EC2 인스턴스에 Springboot Jar 실행Dock..

클라우드 2025.05.04

[Docker] PostgreSQL 설정

Docker 사용해서 PostgreSQL 구성해보기 📝 PostgreSQL Docker 설정1. PostgreSQL 컨테이너 설정port : 5432:5432사용자/비밀번호 : postgres/postgres (🔥 예시임, 노출되면 안됨!! )DB : local : blogdb dev : blogdb_dev prod : blogdb_prod볼륨 마운트healthcheck 설정 2. Docker-compose.yaml 작성version: '3.1'services: db: image: postgres container_name: my_postgres restart: always environment: POSTGRES_USER: yourusername POSTGR..

클라우드 2025.04.30

[Pocket Art] 프로젝트 시작

졸업 작품 시작 1. 주제인공지능 CycleGAN을 활용한 그림 자동완성 AR 서비스 2. 시장/기술 분석3. UseCase 4. 서비스 구성도[Backend]1. Frontend에서 받은 정보를 토대로 Springboot RestAPI 호출2. 파라미터로 넘겨 받은 모델 가중치를 Djl library를 통해 서버 내부 코드에 전달3. 서버 DB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사용자가 업로드한 사진 및 변환된 사진들은 AWS S3 Bucket에서 관리 [Frontend]1. Flutter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입력받고 서버에 전달함2. 사용자에게 선택한 화풍에 맞게 변환된 이미지를 보여줌 [AI]1. 사용자가 선택한 화풍을 파라미터로 넘겨 받는다.2. 사전에 Pytorch를 통해 학습된 모델 ..

Project/Pocket Art 2025.04.26

[ SUNNY] 커뮤니티 기능

[ 커뮤니티 기능 ]작성한 요구 사항 명세서에 맞게 커뮤니티 기능 개발을 시작하였다. 커뮤니티 기능을 개발하기 위해 생성해야 하는 테이블들은 다음과 같다.users커뮤니티와 다대일 관계를 맺기 위해 필요한 테이블사용자가 여러 개의 게시글을 작성할 수 있기 때문에 다대일 관계 → [N:1]N : community (*연관관계 주인)1 : users마이페이지에서 사용자가 자신이 작성한 게시글을 조회할 수 있기 때문에 (연관관계에서 주인이 아닌 쪽에서 조회를 해야함) 양방향 매핑을 해야함users → @oneToMany , community → @ManyToOneusers 쪽에 @oneToMany (mappedBy = “users”) 를 꼭 명시함으로써 양방향을 성립하도록 한다.communityphoto(me..

Project/SUNNY 2025.04.26

[SUNNY] Apple 로그인 기능

[ 사전 준비 ]Apple Developer Program 에 가입되어 있어야 한다. 등록하면 하단의 정보들을 받게 된다. 👀 ( * 해당 내용은 노출되면 안되니 조심 !! )1. TEAM_ID : 2. CLIENT_ID : 3. REDIRECT_URL : 4. KEY_ID : 5. Bundle ID :1. 애플 로그인 [ 로그인 Flow ]모바일(App-client)로부터 로그인 요청을 받음애플 서버가 auth code(authorization_code)를 발급해 준다.애플 서버에서 받은 code를 스프링 서버(App-server)에 전달서버는 이 토큰을 들고 애플서버로 가서 사용자가 진짜 맞는지 검증맞으면 사용자에 대한 정보 id_token을 내려줌id_token은 jwt 형태이기 때문에 decod..

Project/SUNNY 2025.04.26

[SUNNY] API 통신 정리

⚠️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올바르지 않은 요청일 경우 서버는 어떻게 응답하는 것이 좋을까?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웹 환경에서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클라이언트는 HTTP의 상태 코드를 확인하여 요청의 성공 or 실패를 확인할 수 있다.1. 성공 코드 : 2XX Success2xx번대의 상태 코드들은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성공적으로 처리했다” 는 의미이다.200 - OK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서버가 정상적으로 처리했다. (성공에 대한 모든 상태 코드를 200 으로 응답해도 크게 상관x) ✅ 상태 코드는 200 으로 성공인데 body 내용엔 실패에 관한 내용을 return 하고 있으면 올바른 설계 x201 - Created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서버가 정상적으로 ..

Project/SUNNY 2025.04.26
728x90